소 분 류 |
자 료 명 | |
가공, 공구 |
연마, wire-cutting, 방전가공 |
가공방법별 임률 |
Wire-Cutting M/C | ||
Wire-Cutting 가공정도 | ||
방전가공기 (E.D.M) | ||
방전가공 정도 | ||
평 면 연 삭 가 공 | ||
평면연삭가공 | ||
평면 연삭 가공 정도 한계치 | ||
평면연삭 가공 정도 한계치 | ||
내면연삭 (JIG GRINDING) 가공정도 | ||
내면연삭 (원통연삭 가공정도) 가공정도 | ||
REAMER 가공 가능 SIZE | ||
가공별 사상정도 | ||
TAP, Drill, End-Mill, Rermer, Heli-coil |
END-MILL | |
TAP HELI-COIL | ||
REAMER, HOLE CUTTER | ||
Straight Shank Twist Drill | ||
Morse Taper Shank Twist Drill | ||
공차, 도면표기법, 일반공차 |
IT공차, 끼워맞춤공차, 일반공차 |
끼워맞춤공차표(KS B 0401) |
각종 끼워맞춤의 實例 (Ⅰ) | ||
각종 끼워맞춤의 實例 (Ⅱ) | ||
상용하는 끼워맞춤 | ||
IT 기본공차의 값 | ||
IT 공차 산출법 | ||
IT 공차별 적용예 | ||
중심거리의 허용차 (KS B 0420) | ||
보통 허용차 (사내규정, KS규정) | ||
보통 기하 공차(KS B 0146) | ||
일반공차 적용 例 (KS 기준) | ||
주철품 보통 허용차 (KS B 0411) | ||
주강품 보통 허용차(KS B 0418) | ||
알루미늄 합금주물 보통 허용차 (KS B 0424) | ||
알루미늄 합금주물 보통 허용차 | ||
절삭 가공품의 둥글기 및 모떼기 (KS B 0403) | ||
기하공차 |
기하공차 치수 기입법 | |
기하공차 비교 | ||
기하공차의 규제조건 | ||
진 직 도 | ||
평 행 도 | ||
평면도ㆍ윤곽도 | ||
직 각 도 | ||
진원도ㆍ원통도ㆍ동축도ㆍ동심도 | ||
대 칭 도 | ||
경 사 도 | ||
위 치 도 | ||
도면표기 표준화 |
도면 표기방법 표준(Ⅰ) | |
도면 표기방법 표준(Ⅱ) | ||
상용부품규격 |
공용자재, 기계요소부품 규격 |
평행핀 (맞춤핀) 규격 |
묻힘키이 규격 및 키이홈 치수 | ||
위치 결정핀 (Ⅰ) | ||
위치 결정핀 (Ⅱ) | ||
스프링 와셔 규격 | ||
구면와셔 및 열쇠형 와셔 규격 | ||
베어링용 너트 및 와셔 | ||
DU BUSH (DU DRY 베아링) 규격 | ||
FLANGE DU BUSH 규격 | ||
볼 베어링 유니트1 | ||
볼 베어링 유니트2 | ||
볼 베어링 유니트3 | ||
볼 베어링 유니트4 | ||
공용자재(生技센터) List (Ⅰ) | ||
공용자재 (生技센터) LIST (Ⅱ) | ||
베 어 링 | ||
너얼링의 종류 및 표기 | ||
육각 구멍붙이 보울트 규격 | ||
육각 보울트 규격 | ||
홈붙이 접시 작은나사 규격 | ||
육각너트 규격 | ||
육각 구멍붙이 멈춤나사 | ||
COUNTERSINK(접시형구멍) 자리치수 | ||
스프링핀 규격 | ||
분할핀 규격 | ||
평와셔 규격 | ||
이붙이 와셔 규격 | ||
C형 멈춤링 (축용) | ||
C형 멈춤링 (구멍용) | ||
E형 멈춤링 | ||
Spring |
코일스프링 (인장, 압축) 비교 | |
코일스프링(인장, 압축)계산식 | ||
코일스프링(비틀림) 계산 | ||
코일스프링의 기본치수 및 요목표 | ||
인장스프링, 압축스프링 노모그램 | ||
인장코일스프링 규격 (1) | ||
인장코일스프링 규격 (2) | ||
인장코일스프링 규격 (3) | ||
인장코일스프링 규격 (4) | ||
인장코일스프링 규격 (5) | ||
인장코일스프링 규격 (6) | ||
인장코일스프링 규격 (7) | ||
인장코일스프링 규격 (8) | ||
압축코일스프링 규격 (1) | ||
압축코일스프링 규격 (2) | ||
압축코일스프링 규격 (3) | ||
압축코일스프링 규격 (4) | ||
압축코일스프링 규격 (5) | ||
압축코일스프링 규격 (6) | ||
압축코일스프링 규격 (7) | ||
압축코일스프링 규격 (8) | ||
압축코일스프링 규격 (9) | ||
압축코일스프링 규격 (10) | ||
압축코일스프링 규격 (11) | ||
재료 |
철강, 스테인레스, 알루미늄 |
구조용강재료의 특성 및 용도 |
공구강재료의 특성 및 용도 | ||
기타 철강재료의 특성 및 용도 | ||
원형·사각·육각봉 규격 | ||
공구강 봉재 규격 | ||
재질별 판재 시중품 규격 | ||
배관용 탄소 강관 규격 | ||
압력 배관용 탄소 강관 규격 | ||
무늬강판 (Floor - Plate) 규격 | ||
스테인레스(STS) 특성 및 용도 | ||
스테인레스 판재규격 및 가격 | ||
스테인레스 봉재 규격 | ||
스테인레스 파이프 및 사각관 규격 | ||
알루미늄 재질표시 방법 | ||
알루미늄 질별 기호 및 설명 | ||
알루미늄 종류 및 특성 | ||
알루미늄 판재 규격 | ||
알루미늄 원형봉 규격 | ||
알루미늄 굽힘 반경(R)값 | ||
연마봉 |
연 마 봉 규 격 (고탄소 크롬 베아링강) | |
연 마 봉 규 격 (SM45C) | ||
연 마 봉 규 격 (상 용 품) | ||
연 마 봉 규 격 (원형 · 상용품) | ||
연 마 봉 규 격 (중공축 · 상용품) | ||
연 마 봉 규 격 (STS · 상용품) | ||
Engineering, Plastic |
Engineering Plastic 특성 및 용도 | |
Engineering Plastic 시중 규격 | ||
고무 |
고 무 사 양 | |
고무특성 및 물성표 | ||
고무 시중 규격 및 가격 | ||
고무관련 문제 대응 방안 例 | ||
각관, 형강 |
일반 구조용 등변 각관 규격 | |
일반 구조용 부등변 각관 규격 | ||
ㄱ 형 강 규 격 (등 변, 부 등 변) | ||
H 형 강 규 격 | ||
홈 형 강 규 격 | ||
표면처리, 열처리 |
도금, 화성처리, Anodizing, Teflon Coating |
알루미늄 표면처리 종류 및 용도 |
도금 및 화성처리 종류 및 용도 | ||
무전해 Ni 도금 | ||
경질 크롬 도금 | ||
아연 CHROMATE 도금 | ||
화성처리 | ||
ANODIZING | ||
HARD-ANODIZING | ||
HARD-ANODIZING 특성 | ||
TEFLON 처리 | ||
SAND BLASTING | ||
표면처리 특성 설명 | ||
열처리 |
열처리 목적에 의한 분류 | |
표면경화 열처리법(Ⅰ) | ||
표면경화 열처리법(Ⅱ) | ||
열처리를 고려한 부품설계 例 (Ⅰ) | ||
열처리를 고려한 부품설계 例 (Ⅱ) | ||
열처리를 고려한 부품설계 例 (Ⅲ) | ||
도장 |
도막의 구조 및 공정 | |
도장의 종류 | ||
도장의 종류 및 가격 | ||
상용소부도장 | ||
|
'나의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STS Socket, Nipple 규격 (0) | 2016.02.15 |
---|---|
[스크랩] STS Union (0) | 2016.02.15 |
[스크랩] STS PROFILE SOCKETS (0) | 2016.02.15 |
[스크랩] 표면거칠기란? (0) | 2016.02.15 |
[스크랩] PT_PF 설계규격 (0) | 2016.02.15 |